일상과 단상
2055년
장돌뱅이.
2025. 2. 16. 10:22
2055년을 가상현실(VR)로 큰 손자저하와 체험했다.
행사장에 가기 전 손자저하가 선택한 식당에서 저하의 선택 메뉴로 밥을 먹었다.
"2055년? 그땐 우리가 100살이 다 되었을 텐데 살아있기나 하려나?"
아내의 말에 저하가 말했다.
"왜요? 요즈음 의학이 발달해서 100살도 넘게 산데요."
제법 의젓해졌다는 생각도 잠시.
아내와 딸아이가 서로 식대를 계산한다고 설왕설래를 하다 딸아이가 나서자 저하가 말했다.
"할아버지 할머니는 엄마보다 일찍 죽을 것이니까 돈을 빨리 써버려야 하는 거 아니에요?"
저하들은 가끔씩 자신들의 생각을 거침없이 내뱉어서 실소를 하게 만든다.
지금보다 더 어렸을 적, 둘이서 <<나 홀로 집에>> 영화를 보며 낄낄거린 적이 있다.
딸아이가 유치원때 비디오로 보던 영화를 대를 건너 OTT로 보게 되니 기분이 묘하기도 했다.
"이다음에 우리 손자는 어른이 되면 저런 큰 집에서 살아라. 할아버지가 놀러 가게."
나의 말에 저하는 텔레비전 화면에 눈을 고정시킨 채 심상한 표정으로 말했다.
"그때가 되면 할아버지는 죽어 있지 않을까요?"
"2055년"은 한 시간 정도의 체험이었는데 속도감 있는 배치와 내용으로 금방 지나갔다.
도시와 자연, 바다와 우주를 오고 가는 전개는 흥미로웠다. 특히 거대하게 폭발한 화산을 비행선을 타고 돌아보는 체험이나 지구를 향해 돌진하는 거대 운석을 영화 <<아마겟돈>>에서처럼 파괴하지 않고 인공자기장을 이용해 경로를 변경시키는 임무에 손자는 몰입하는 듯했다.
물론 어른인 나도 재미있었다.
체험이 끝나고 감상을 묻는 진행자의 질문에 나는웃으며 말했다.
"재미있었지만 2055년까지 살아있지 않을 거라 다행이라는 생각도 들었습니다."
과학의 진보만으론 인류의 복지가 담보될 수 있을까 하는 생각과,
'주여, 어디로 가시나이까(Quo Vadis Domine)?' 라는 기도 닮은 물음을 떠올려보기도 하면서.
리들리 스콧 감독이 1982년에 만든 영화 <<블레이드 러너>>에서 미래는 암울한 디스토피아로 그려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