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팥죽2

눈이 내린 동지 밤 사이 눈이 내렸다.많이 올 것이라는 예보에 비해선 적게 왔다.오늘은 동지, 팥죽을 먹는 날이다. 옛날에는 동지를 아세(亞歲)라고 하며 설날에 버금가는 날로 생각했다고 한다.'동지 팥죽을 먹어야 진짜 나이를 먹는다'는 말도 그래서였을 것이다.요즈음이야 별미와 재미로 동지에 팥죽을 먹지만 옛사람들은 귀신이 팥죽의 붉은색을 싫어한다고 생각하여 양기가 되살아나는 동지에 팥죽을 먹음으로써 나쁜 기운을 몰아내고 집안의 평안을 비는 뜻을 담았다. 올 동지는 그런 기운이라도 빌려 용산 어딘가에 뿌리며 액막이를 하고 부정거리라도 읊고 싶다.♬앉아서 본 부정, 서서 들은 부정, 마루 넘어 오든 부정, 재 넘어 오든 부정, 강건너오든부정, 계엄부정, 헬기타고오든부정, 총들고오든부정, 장갑차굴러오든부정, 내란부정, 주가조.. 2024. 12. 21.
동지 팥죽 "동지는 무슨 날?""밤이 제일 긴 날.""뭘 먹지?""팥죽!"뜻밖에 손자 친구는 잘 알고 있었다. 밤이 긴 것은 (어린이용) 절기 달력을 보고 알았고, 팥죽 먹는 건 동화에서 읽었다고 했다. 전래 동화 「팥죽 할머니와 호랑이」는 할머니를 잡아먹으려는 못된 호랑이를, 할머니에게 팥죽을 얻어먹은 지게, 멍석, 절구, 개똥, 알밤, 자라, 송곳이 힘을 합쳐 혼쭐을 낸다는 이야기다.이야기 속의 호랑이는 백성을 쥐어짜는 탐관오리이거나 세도를 부리는 양반계급을 상징하는 것 같다.할머니에게 부당한 고통을 강요하던 호랑이를 작고 시시한 존재들인 지게와 멍석, 개똥과 알밤 등이 각각의 장기(長技)를 발휘하여 물리치는 과정이 재미있고 통쾌하다.동지 팥죽은 삿된 기운을 내몰고(辟邪)  잡귀를 쫓아내려는(逐鬼)의 의미가 있.. 2021. 12. 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