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물잡채4 한 술만 더 먹어보자 32 동네 재래시장 아내의 단골 어물전에서 산 오징어는 싱싱했다.크기도 튼실해서 숙회나 잡채, 볶음 등을 하기에 알맞았다.해물잡채오징어를 사러 간 이유는 딸아이의 생일 상차림으로 해물잡채를 만들기 위해서였다.오징어, 새우, 표고버섯, 피망, 파프리카 따위가 들어간 해물잡채를 만드는 법은 앞선 글( 한 술만 더 먹어 보자 7)에 있다. 아내는 미역국과 전 등 나머지를 맡았다.출산예정일이 가까워지자 어머니께서 서울에서 내려오셨다. 당시 나는 지방에서 살고 있었다. 그런데 일주일이 지나도 딸아이는 세상에 나올 기미가 없었다. 병원에서는 '아직'이라고 했다. 그동안 퇴근 후면 곧바로 집으로 돌아와 비상대기를 하던 나는 일주일 째 되는 날 저녁에 회사일로 손님과 어쩔 수 없는 저녁 자리를 가졌다. (아내는 회사일이 아.. 2025. 3. 14. 한 술만 더 먹어 보자 7 음식을 만들기 시작하면서 외식이 줄었다. 집에서 만들기 힘든 음식 - 일테면 순대(돼지)국밥이라던가, 초밥(이것도 집에서 만들어 먹는 백수가 있긴 하지만), 평양냉면이나 곰탕 같은 몇몇 가지-을 제외하면 될 수 있는 대로 집에서 먹는다.백수라 주머니 깊이가 얕아진 이유가 제일 크겠지만, 어떤 어색한 격식이나 긴장감이 없는, 다른 속마음이 있을 리 없는 집밥에는 '허리띠 끌러 놓고 먹는' 편안함이 있어 좋다. 음식을 사이에 두고 아내와 '짜다, 싱겁다, 맵다, 질다, 달다, 되다, 덜 익었다, 너무 익었다, 무르다, 퍼졌다, 크다, 작다, 기름지다, 담백하다, 은근하다, 구수하다, 딱딱하다' 따위의 소소한 말을 주고받는 사이에 밥 한 그릇쯤은 쉽게 비워진다. 김애란의 소설에서는 '그렇게 사소하고 시시한.. 2024. 7. 22. 제주 함덕 20 아침 함덕 해변을 걸었다. 기온은 다시 온화해지고 바람도 한결 잦아들었다. 돌아오는 길에 오드랑 빵집에서 어니언 베이글을 사다가 버섯수프와 함께 먹었다. 제주살이가 10일 정도 남았으므로 이제부턴 냉장고 속의 식재료를 줄여나가야 한다. 점심엔 며칠 전 아내의 친구가 사다준 갈치를 꺼냈다. 재료가 워낙 싱싱한 터라 그냥 프라이팬에 구웠을 뿐인데도 여느 갈치구이 전문식당의 맛에 뒤지지 않았다 제주시 용담동에 있는 용두암은 해외여행 자유화 이전, 제주도가 신혼여행지로 각광을 받던 시절에 제주 인증샷을 찍는 장소였다. 신혼부부의 집들이를 갈 때마다 벽에 걸린 용두암 배경의 사진을 볼 수 있었다. 제주도로 신혼여행을 가지 못한 나는 아내에게 빚처럼 남아 있는 곳이기도 했다. 세월이 지나 아내와 용두암을 찾았을 때.. 2022. 11. 9. 잘 먹고 잘 살자 60 - 해물잡채 기록상 잡채(雜菜)라는 음식이 등장한 것은 오래 되었다. 1630년 신흠(申欽)이라는 사람이 쓴 글에 임금에게 잡채나 침채(오늘 날 김치), 더덕(沙蔘) 등을 바치고 높은 벼슬을 얻은 사람에 대한 이야기가 나온다고 한다. 이를 두고 '잡채상서(雜菜尙書)'니 '침채정승(沈菜政丞)'이니 ‘사삼각노(沙蔘閣老)’라고 불렀던 모양이다.음식으로 벼슬을 얻었다는 것이 잘 이해가 가지 않는다. 하지만 그 임금이 반정으로 물러난 광해군이고 보면 반정의 정당성을 입증하기 위해 앞선 권력을 폄하하려는 의도가 들어간 기록일 수도 있겠다. 아무튼 그런 문제의 진위 여부와 상관없이 약 400년 전에 잡채라는 음식이 이미 존재했다는 사실만큼은 확실한 것 같다.다만 당시의 잡채는 요즈음 우리가 보는 잡채와는 다른, 말 그대로 '여.. 2019. 10. 26. 이전 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