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민어탕3

카페와 민어탕의 여름 카페 "이도림"은 서촌 자하문 도로변에 있다.새로 지은 듯 하얀색 외관이 깨끗해 보여 들어갔다. 비가 오락가락하는 호랑이 날씨 탓인지, 아니면 원래 유명해서인지 외국인들을 포함해서 사람들이 많았다.이도림.이도는 세종대왕의 이름이고 림(晽) 은 알고자 할 '림'이란다.근처에 세종대왕이 태어난 표지석에서 힌트를 얻은 이름 같았다. 이도림은 아내와 내게 그다지 마음에 드는 구조와 장식의 카페는 아니었다. 쓸데없이 복잡한 동선은 불편했고, 실내 장식과 옥상정원에서 느껴지는 얕은 일본 느낌은 어색했다. 너무 멋을 부리려고 한 것은 아닌지 ······.하지만 무슨 상관이랴. 우리가 살 곳도 아니고 잠시 머물며 책을 읽다가 가는 곳일 뿐인데. (옛날 한 직장 상사는 우리가 살 곳이 아닌 곳일수록 오히려 더 깐깐해져야.. 2024. 8. 1.
초복 복달임 폭우로 복날 같지 않은 시원한 날이다. 올해 초복 복달임은 미리 앞당겨서 했다. 아니 사실은 지난주에 외식을 하면서 그걸 복달임으로 치기로 했다. 아내와 임의로 우리 부부만의 계절맞이 음식을 정해 두었다. 봄이면 도다리쑥국, 여름이면 민어탕, 가을이면 꽃게, 겨울이면 과메기. 물론 이른 봄에 먹는 봄똥(봄동)이나 3~4월에 먹는 주꾸미, 여름철의 과일, 가을철의 대하, 겨울의 굴이나 꼬막도 있지만, 아내와 나는 위 네 가지 음식들을 먹는 것으로 계절이 왔다고 말하곤 한다. 올해도 민어탕은 을지로 입구에 있는 식당 충무집에서 먹었다. 개운하면서도 은근하고 약간은 칼칼한 민어탕! 블로그를 뒤져보니 오래전 서울 논현동에 있는 식당 노들강에서 먹은 민어에 대한 글이 있다. (* 지난 글 : 서울 논현동 "노들강.. 2023. 7. 11.
한여름 한낮 - 덕수궁과 그 부근 민어탕은 여름철 음식이다. 민어가 여름에 알을 낳기 때문이다. 봄철 도다리쑥국으로 유명한 을지로 입구에 있는 식당 충무집에서 계절 음식으로 민어탕을 낸다. 외출을 했다가 일이 끝나는 시간에 맞추어 민어탕을 미끼로 아내를 불러냈다. 민어탕에는 원래 부레, 간 등의 내장이 들어가야 제맛이라고 한다. 충무집 민어탕에는 살덩이만 들어 있다. 그래도 구수하고 달짝지근한 맛이 입에 붙는다. 시원한 에어컨 아래서 '시원한' 민어탕 한 그릇을 하니 한여름 더위가 만만해 보이기까지 했다. "벌써 팔월인데 까짓 더위라고 해봤자 이제 며칠이나 남았겠어?" 자못 호기롭게 아내에게 말해 보았다. 민어의 원래 이름은 면어, 면은 조기 면(鮸)이다. 민어와 조기는 사촌지간이다. 면의 중국식 발음이 민과 가까워서 복잡한 '면' 대신.. 2022. 8.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