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여행과 사진/한국

발밤발밤24 - 대구 시내를 걷다2(끝)

by 장돌뱅이. 2017. 7. 13.

약령시 한의학박물관 바로 옆에 있는 옛 제일교회가 있다. 지금은 교회 역사관인 듯 했다.
1898년 미국 선교사가 경북 지역 최초로 세운 교회라고 한다.

안내문에는 현재의 모습을 갖춘 때가 1936년이라고 쓰여 있었다.
지금도 거대한 규모지만 일제 강점기에는 일대에 거의 견줄만한 건물이
없을 정도로
엄청난 건물이 아니었을까 싶다. 




중학교 때인가 이웃 친구네 형의 책장에서 우연히 처음 이상화의 시를 접했을 때의
뭔가 가슴이 서늘해지던 기억.

   지금은 남의 땅 - 빼앗긴 들에도 봄은 오는가

정확한 의미를 알 수 없는 「나의 침실로」를 읽으며 
'마돈나', '침실', '수밀도', '네 가슴' 등이 주는 묘한 상상에 친구와 킬킬거렸던 기억.
마돈나며 침실이란 생경한 단어와 함께.
(침실의 뜻은 알았지만 안방, 건너방, 문간방 등이 훨씬 익숙한 때라.)

   마돈나 밤이 주는 꿈, 우리가 얽는 꿈, 사람이 안고 궁구는 목숨의 꿈이 다르지 않으니,
   아, 어린애 가슴처럼 세월 모르는 나의 침실로 가자, 아름답고 오랜 거기로.
 
그리고 팔십년 대 친구들과 부르던 노래.

   나는 온몸에 햇살 받고
   푸른 하늘 푸른 들이 맞붙는 곳으로
   가르마 같은 논길을 따라 꿈속을 가듯 청처없이 걸어간다 걸어만 간다.
  
수업 시간 이외에 내 기억 속의 남아 있는 이상화 시인이다. 


작은 길 하나를 사이에 두고 서상돈의 고택이 있다.

그는 1907년 대구에서 시작된 국채보상운동을 주도 했다고 한다.
대한제국이 들여온 일본의 차관을 갚고 국권을 지키려는 운동이었다.


계산성당에 들려 잠시 제단을 바라보고 앉아 묵상과 기도의 시간을 가졌다.
더운 날에 다리쉼도 하였으니 일석이조다.
계산성당은 서울, 평양에 이어 국내에서 세번째로 지어진 고딕양식의 성당이라고 한다.
성당 앞 안내판에 1918년 12월24일 현재의 모습을 갖추었다는 글이 쓰여있다.
앞의 제일교회와 함께 일제 강점기의 규모가 커지는 종교의 모습이 이례적이다.
더불어 유사 이래 최악의 시기를 내가 믿는 종교는 어떻게 헤쳐나왔는가에 대한 궁금증이 인다.




산성당을 나와 청라언덕으로 향하는 길에 있는 3·1만세운동길(90계단).
"1919년3월8일 계성, 신명, 대구고보 학생들이 대구 3·1운동에 참가하기 위해
일본 순사들의 감시를 피해가면서 서문시장 큰 장터를 향해 달려갔던" 길이라고 한다.


동무생각(사우)의 언덕.

청라언덕 노래비 앞에는 노랫말처럼 백합이 심어져 있었다.
노래비를 읽으며 아내와 작은 소리로 노래를 불렀다.
기분 탓인지 더위에 지친 몸이 한결 가벼워왔다.
 
   봄의 교향악이 울려 퍼지는 청라언덕 위에 백합 필적에
   나는 흰 나리꽃 향내 맡으며 너를 위해 노래 노래 부른다
   청라언덕과 같은 내 맘에 백합 같은 내 동무야,
   네가 내게서 피어날 적에 모든 슬픔이 사라진다

 
대구는 전태일의 고향이다. 
대구 중구 동산동 311.
1948년 8월26일 전태일이 태어났을 때 이곳은 주택가였다고 한다.
지금은 "바르게 살자"라는 구호가 적힌 어느 단체의 비석이 서있을 뿐이다.

전태일에 대한 대구의 망각은 철저하다. 왜 그럴까?
앞서 들렸던 이상화시인의 고택은 시민들의 자발적인 모금으로 보존됐고,
서상돈 고택도 그렇게 복원되었다. 대구에서 태어나 다섯살에 서울로 간 가수 김광석의 대봉동에는
김광석을 기리는 길이 만들어져 있다. 그에 비하면 전태일은 완벽히 잊혀진 존재로 보인다.

어쩌면 우리가 이룩한 민주주의가 여기까지인지 모르겠다.
우리는 아직 먼길을 가야 한다.
아래 고은 시에서처럼 그의 삶과 죽음에서 시작되었을 뿐인,
그러나 아직은 다다르지 못한 시대 그리고 꿈까지...

   그의 죽음은
   너의 시작이었다
   나의 시작이었다
   하나 둘 모여들어
   희뿌옇게
   아침바다의 시작이었다

   그는 한밤중에도 우리들의 시작이었다
                   - 고은의 시, 「전 태 일」 -



해마다 여름이 다가오면 대구는
날씨를 전하는 텔레비젼 뉴스에서 귀에 익다.
"오늘 대구 지방의 한낮 기온은 얼마얼마를 기록하였습니다."
대구는 1942년 8월11일에는 섭씨40롤 기록한 적도 있다고 한다.
겨울에는 춥기도 하다고 『마당 깊은 집』에는 나와 있다.

   "영남지방 내륙에 위치한 대구 분지는 여름 한철 전국에서 알아주는 불볕 더위요,
   겨울이면 한파 또한 유난히 극성스럽게 수은주를 끌어내려, 엄청 추운 날 기상대가
   전국에서 가장 기온이 낮은 지방을 소개할 때면 빠뜨리지 않는 고장이 대구였다."

대구현대백화점 앞에는 더위를 상징하는 조형물들이 있다.
더위에 녹을 듯 휘어진 모습의 교통 안내뿔과 달결후라이.^^




걷다보니 배가 고파왔다.
검색으로 알게된 수봉반점이란 곳의 특이한 중화비빔밥이 먹고 싶었지만 거리가 멀어보였다.
그나마 현재 위치에서 가까운 곳이 영생덕이란 만두집이었다.
현대백화점에서 일부러 염매시장을 지나 걸어서 갔다.
메뉴에 '꾼만두'라 되어 있는 튀김만두를 시켰는데 소문대로 바삭하니 먹을만 했지만 기름기가 좀 많았다.


이번 대구 여행의 마지막 방문지인 김광석길로는 버스를 타고 갔다.

아내와 내가 좋아하는 가수 김광석.
그의 요절이 안타까울 뿐이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