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과 단상

영화「벌새 (House of Hummingbird)」

by 장돌뱅이. 2019. 9. 8.


1994년. 중학교 2학년 여학생 김은희.
그에 대한 영화이다. 영화「벌새」특별하게 부각시킨 주제가 없다.
그의 집과 학교, 학원을 오가며 만나는 다양한 일상이 소재이자 주제이다.

집과 학교는 그에게 억압적이고 폭력적이다.
실제로 그는 오빠에게 자주 얻어 맞는다.

집에는 가부장적이고 슬쩍 바람도 피며,  남아선호의 사상에 젖은 아빠가 있고,
아빠가 주는 수모를 견디며, 가끔씩은 절망적인 투로 덤비기도 하는, 엄마가 있고,
아빠를 닮은, 그러나 아들이기에 특별한 대우를 받는 오빠가 있고,
밤중에 남자친구를 부모 몰래 집으로 불러들이는 언니가 있다.


학교에는 오직 서울대를 향한 공부만을 외치는 선생님이 있다.
선생님은 수업 전 쪽지를 나눠주며 '날라리'로 생각하는 사람을 2명씩 적어 내라고 하기도 한다.
김은희는 거기서 '날나리'로 선출(?)된다.

하지만 정작 '날나리' 짓도 그리 잘 하지 못한다. 남친이나 'X동생'과의 관계도 순탄치 못하고
호기심이나 우발적으로 저지르는 일탈 행위도 그저 심드렁하게 혹은 외롭게 끝날 뿐이다.
그는 시큰둥하게 환경에 순응하며 지내지만 마음 저변에 분노와 절망 비슷한 것을 간직하며 지낸다.

북한 김일성의 급작스런 죽음과 성수대교 충격적인 붕괴라는 1994년의 대형 사건이
그의 일상에
무심히 혹은 가까이 지나간다. 생각헤 보면 누구나 그렇게 산다.
거대한 소용돌이처럼 몰아치듯 삶의 전부를 흔들지는 않더라도
일상은 누구에게나 결코 잔잔하고 만만하게만 흘러가지는 않는다.
그래도 사람들은 고통 속에서도 자신을 돌아보고 삶을 지속한다. 
김은희도 그렇디. 부모와 학교와 친구들과의 부대낌 속에서 작은 질문을 던지며 자신을 세워나간다.
특히 학원 영지선생님과의 짧은 만남은 그에게 빛나는 전환점이 된다. 
소설 82년생 김지영」 속 김지영 「벌새」 같은 중학교 시절의 세세한 일상을 겪으며 성장했을 것이다.


영화 제목이 왜 하필 「벌새」일까 하는 의문은 영화의 영어 제목((House of Hummingbird)을 보며 풀렸다. 
벌새는 세상의 새 중에서 가장 작은 새이며 날개를 가장 빠르게 움직이며 나는 새.  
세상은 그런 무수한 벌새들이 만들어가는 집일까?
김은희가 자기집으로 착각하고 다른 집의 초인종을 누르는 영화 도입부,
와이드샷으로 잡은 아파트의 똑같은 모습이 대동소이하게 살아가는 벌새들의 삶을 강조하는 것 같다.


*극장으로 들어가며 딸아이 마련해 준 영화를 보게 되니 우리가 나이 든 것이 실감난다고 아내와 웃었다.
영화를 보며 나는 어떤 아빠였을까? 하는 생각을 해보니 캥겨오는 구석도 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