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일상과 단상

떡볶이 횡설수설

by 장돌뱅이. 2024. 3. 18.

국물떡볶이

떡볶이는 아내가 좋아해서 자주 해 먹는 음식 중 하나다.
최근에 들어서는 손자저하가 좋아하는 떡만둣국을 끓이고 남은 가래떡으로 만들게 되어 '아내가 좋아해서'라는 이유가 순도 100%는 아니다. 하지만 '수양산 그늘이 강동 80 리를 간다'고 하지 않던가. 그나마 자주 떡볶이를 먹을 수 있는 것은 저하의 떡만둣국 취향 덕분이라 여겨서인지 아내도 자신의 '권력 서열'이 저하 다음으로 밀려난 것에 큰 푸념을 늘어놓진 않는다.

(국물)떡볶이는 육수에 고추장을 비롯한 양념을 풀고 어묵, 양배추, 떡볶이떡 따위를 끓인 것이다. 식당에서는 그 외에 튀김만두나 순대, 당면, 라면사리도 넣어(찍어) 먹는다고 하지만 나는 위 세 가지만 넣는다. 보통 떡볶이는 정확히 따지고 보면 떡을 볶는 것이 아니라 걸쭉하게 고추장을 푼 양념 국물에 떡을 넣고 끓인 떡매운탕이나 떡고추장조림이다. 

빨간 떡볶이의 역사는 길지 않다. 옛날에 떡볶이는 이름 그대로 가래떡을 기름에 볶아 먹는 음식이었다. 어릴 적 설날이 지나고 나면 한동안 어머니는 가래떡을 기름에 볶은(구운) 걸 조청과 함께 간식으로 내놓으셨다. 떡을 별로 좋아하지 않았던 나는 떡보다는 조청 맛에 먹었다.
언젠가 서촌 통인시장에 갔을 때 굵은 가래떡이 아닌 가느다란 떡볶이용 떡으로 만든 간장떡복이을 먹으면서 그 추억을 떠올리기도 했다.

통인시장 기름떡볶이
매운 기름떡볶이

가래떡에 여러 채소와 고기를 넣고 볶아서 먹는 떡볶이를 궁중떡볶이라고 부른다. 전통 떡볶이의 한 종류다. 하지만 궁에서 뿐만이 아니라 궁 밖의 양반이나 상만들도 다 먹는 일반적인 음식이었다고 한다.

궁중떡볶이

이밖에 책에서 보니 궁중떡볶이와 비슷하게 맵지 않게 간장소스로 떡과 어묵등을 볶아서 만든 간장떡볶이가 있었다. 책에서 보고 만들어 아내와 시식을 해보니 손자저하들이 좋아할 것 같아 함께 지내는 동안 야심차게 만들어 내놓았지만 반응은 별로였다. 저하들의 취향을 맞추기 어렵다.

간장떡볶이

국물떡볶이를 좋아하는 이유 중의 하나는 국물에 있다. 남은 국물을 이용한 볶음밥이 맛있기 때문이다. 보통은 거기에 김가루와 참깨를 넉넉히 넣는다. 

떡볶이 국물로 만든 볶음밥

이제 떡볶이는 퓨전 푸드다. 순대, 튀김, 사리, 치즈가 가세한 지 오래고, 재료를 넣고 끓이는 떡볶이의 특성상 앞으로 새로운 재료들이 더해질 수도 있겠다. 

떡볶이가 대중화된 데는 6 - 70년대 혼분식 장려 운동도 역할이 크다고 한다.
쌀 대신 밀가루로 떡볶이 떡을 만들면서 유행이 시작되었기 때문이다.
이제는 쌀이 남아서 문제다. 인구 감소와 식생활의 변화로 쌀소비는 해마다 줄어든다. 2020년 1인당 쌀 소비량이 57.7kg인데 이는 칠팔십 년대에 비해 절반 이하의 양이다. 매년 30만 톤씩 남아도는 쌀을 관리하는 비용도 천문학적이다. 2018년 양곡 재고 관리 비용으로 약 3900억 원이 들어갔다고 한다. 수출을 하려고 해도 중국이나 동남아시아 국가들에 비해 가격경쟁력이 낮아 쉽지 않다.

김대중과 노무현 정부 때는 인도적 차원에서 상당량을 북한에 지원하는 것으로 소비했지만 이명박정부 이후 중단되었다. 쌀떡볶이나 쌀막걸리의 보급이 쌀 소비 증대의 결정적 대안이 될 수는 없다. 모든 문제가 그렇듯 쌀 문제도 다방면에 걸친 복합적인 고민이 필요한 것 같다.

'일상과 단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산수유  (0) 2024.03.20
천주교정의구현전국사제단 월요시국기도회  (0) 2024.03.19
느그들 쫄았제?  (0) 2024.03.17
구급차는 '미모 미모 미모' 다  (0) 2024.03.16
축구선수반 손자저하  (0) 2024.03.14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