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 대공황

학창 시절 경제공황에 대해 이야기할 때 한 친구의 말은 명쾌하면서도 어렵게 다가왔다.
"엄마, 왜 집이 추워요?"
"아빠가 다니던 탄광을 그만두게 되어서 석탄 살 돈이 없어."
"아빠는 왜 탄광을 그만두었어요? "
"석탄을 너무 많이 캐서 석탄이 남아돈대."
자본주의는 기업 이윤이라는 단 하나의 최우선적 동기만을 추구하기 때문에 주기적으로 찾아오는 불황을 피할 수 없다는 말이 얼마나 타당성이 있는지 경제학에 무지한 나는 검증할 능력이 없다. 모든 경제 주체의 자유로운 경쟁이 이루어지면 정부가 개입하지 않아도 모든 재화와 서비스를 가장 적절하고 효율적으로 제공해 준다는 '보이지 않는 손'이 1929년의 미국 경제에 얼마나 작용했는가도 마찬가지다. 따지고 보면 그건 전문가라 자처하는 사람들도 마찬가지인 모양이다.
불경기 또는 공황이 닥칠 것이라고 예측한 이는 있었다. 그러나 그것이 1929년 10월 24일에 시작된다거나 그토록 오래 이어지리라고 내다본 사람은 없었다. 대공황이 끝난 뒤에도 원인을 분명하게 밝히지는 못했다. 미국 정부의 금융 정책 실패, 여러 우발적 사건의 중첩, 시장 경제의 구조 결함 등 여러 일리 있는 분석이 나왔지만 어느 것도 대공황의 원인과 전개과정을 완전하게 설명하지는 못했다.
-『거꾸로 읽는 세계사』중에서 -
예측을 할 수 없었고 원인은 알 수 없어도 결과는 안다.
주식시장이 붕괴되자 5,000여 개의 은행이 문을 닫았고 돈을 조달하지 못한 사업체는 도산했다. 산업 생산은 50% 하락했고 , 약 1,500만 (정확한 숫자는 아무도 모른다)이 실직상태가 됐다. 1929년 봄에 당시 12망 8천 명의 노동자가 일하던 포드 자동차는 1931년 8월에 이르면 3만 7천 명 만이 남게 되었고, 뉴잉글랜드 섬유공장의 28만 노동자 가운데 거의 절반이 일자리를 잃게 되었다.
대도시 빈민구호소 앞에 길게 늘어선 실업자들은 돈만 없었던 게 아니다. 자존감도 가족을 볼 낯도 미래에 대한 희망도 잃어버렸다. 일자리를 달라고 시위를 해도 소용이 없었다. 정부는 공산주의자들이 배후에서 조종한다며 경찰과 군대를 동원해 진압했다.
- 『거꾸로 읽는 세계사』중에서 -
『분노의 포도』는 경제공황기에 집과 땅을 잃고 떠도는 가족을 그린 존 스타인벡의 소설이다.
쫓겨난 사람들과 이주자들 25만 명, 30만 명이 캘리포니아를 향해 줄지어 갔다. 그들 뒤에서는 새로운 트렉터들이 농토 위를 움직이고 소작인들은 쫓겨나고 있었다. (···) 어딘가를 응시하는 위험한 사람들의 물결이었다. (···) 그는 황금빛 오렌지가 나무에 달려 있는모습을,작은 황금색 오렌지가 진녹색 나무에 달려 있는 모습을, 가격이 떨어지면 쓰레기처럼 내다 버릴 오렌지를 야윈 아이에게 주려고 하나라도 따는 사람이 있는지 지키기 위해 엽총을 든 채 이랑 사이를 순찰하는 경비원들을 보았다.
5. 대장정
90년 대 초 '드디어'중국 출장을 가게 되었다. '드디어'라고 한 것은 그때까지 책을 통해서 알게 된 중국을 내 눈으로 직접 보고 싶었던 마음이 간절했기 때문이다. 책은 대략『전환시대의 논리』과 『우상과 이성』을 비롯한 이영희 교수의 여러 저작 - 『8억인과의 대화』, 『10억인의 나라』, 『중국백서』- 을 기본으로, 고려대 총장을 지낸 김상협 교수의 『모택동사상』, 에드가 스노우의 『중국의 붉은 별』, 님웨일즈의 『아리랑』, 그리고 연변 소설가 김학철의 단편과 장편 소설, 자서전 등이었다.
지난 여행기 - 1999북경6
10. 한 밤의 은밀한 유혹 ZZZZZZ 따르릉, 따르릉, 따르릉. "무슨 전화지?" 잠결에 손을 뻗어 전화를 집어 올렸다. 동시에 이곳이 북경이고 이 한 밤중에 내게 전화 올 데가 없다는 생각이 떠올랐다. "
jangdolbange.tistory.com
댓글